예문유취 글 藝文類聚(예문유취)에 나오는 글 唐나라 구양순 등이 624년에 고종의 명을 받아 엮은 유서(類書)로 총 100권인데 구성은 天, 歲時, 地, 州, 郡, 山, 水, 符命, 帝王 등 48부로 나뉘어 먼저 사실을.. 나의 서예 2013.01.17
월계(月溪) 月溪(월계)/ 촌은 유희경(村隱 劉希慶) 山含雨氣水生煙(산함우기수생연) 靑草湖邊白鷺眠(청초호면백로면) 路入海棠花下轉(노입해당화하전) 滿枝香雪落揮鞭(만지향설락휘편) 산은 비를 머금고 물에는 안개 일고 호숫가 푸른 풀에 백로는 잠이 들고 해당화 꽃 사이로 길은 굽어들고 가지.. 나의 서예 2013.01.15
사마온공가훈 司馬溫公家訓(사마온가훈)/명심보감구 積金以遺子孫 未必子孫能盡守(적금이유자손 미필자손능진수) 積書以遺子孫 未必子孫能盡讀(적서이유자손 미필자손능진독)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 以爲子孫之計也(불여적음덕어명명지중 이위자손지계야) 공자께서 말씀 하시기를 삼아온공의 가.. 나의 서예 2013.01.11
梅月堂 詩 매월당 김시습 시 (梅月堂 金時習 詩1435~1493) 乍晴還雨雨還晴(사청환우우환청) 天道猶然況世情(천도유연황세정) 譽我便是還毁我(예아변시환훼아) 逃名却自爲求名(도병각자위구명) 花開花謝春何管(화개화사춘하관) 雲去雲來山不爭(운거운래산부쟁) 寄語世人須記認(기어세인수기인) 取.. 나의 서예 2013.01.10
어부사 漁父辭(어부사) / 屈原(굴원) 굴원은 전국시대(B.C..424~221) 초(楚)나라의 왕족으로 태어나 학식이 높고 수완 좋은 정치가로 회왕( 懷王)의 신임을 얻어 등용 되었으나 억울하게 음모로 참소(讒訴) 당 하여 쫓겨나 귀향하다가 결국 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멱라에 몸을 던져 죽고 말았다고 한다... 나의 서예 2013.01.07
성주득현신송(聖主得賢臣頌) 중 古文眞寶(고문진보) 後集 聖主得賢臣頌(성주득현신송) 句 / 왕포(王褒) 遵遊自之勢 恬淡無爲之場 (준유자지세 염담무위지장) 休徵自至 壽考無疆 (휴징자지 수고무강) 한가로이 노닐고 싶은 바램을 이루어 자연의 추세를 따라 노닐고, 무위 자연의 세계에서 편안하게 되지요. (그리하여) .. 나의 서예 2013.01.05
해불양수(海不讓水) 海不讓水(해불양수) 바다는 어떠한 물도 마다하지 않고 받아들여 거대한 대양을 이룬다는 뜻으로, 올해는 계층이든 지역이든 차별하지 않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시발(始發)의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나의 서예 2013.01.04
가복성기(嘉福成基) 嘉福成基(가복성기) 아름다운 행복은 만물의 기초가 된다 문징명(文徵明) 중국 명나라 때의 화가, 서예가 겸 시인, 한림원시조(翰林院侍詔)를 제수 받아 《무종실록(武宗實錄)》의 편수에 임했다. 그림은 심주와 함께 남종화 중흥의 중심 인물이었다. 글씨는 이응정(李應禎)에게 배웠는데 왕희지(王羲之), 조맹부(趙孟䫍)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2012.12.27 書 나의 서예 2012.12.30
공자왈 명심보감구(明心寶鑑句) 孔子曰(공자왈) 司馬溫公 家訓(사마온공 가훈) 積金以遺子孫 子孫未必守(적금이유자손 자손미필수) 積書以遺子孫 子孫未筆讀(적서이유자손 자손미필독)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불여적음덕어명명지중) 以爲子孫之計也(이위자손지계야) 공자께서 말씀 하시기를 사마온공의 가훈에 (금을 쌓아 자손에게 줄지라도 반드시 자손이 능히 다 지키지 못 할 것이고 책을 쌓아 자손에게 줄지라도 반드시 자손이 능히 다 읽지를 못 할 것이니 음덕 쌓기를 남이 모르는 가운데 함으로써 , 자손을 위하는 계획만 같지 못하다) 하였다 나의 서예 201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