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脚陽春 有脚陽春(유각양춘) 송경애민휼물조야귀미(宋璟愛民恤勿朝野歸美) 시인함위경위유각양춘(時人咸謂璟爲有脚陽春) 언소지처 여양춘조물야(言所至處 如陽春照物也) 다리가 달린 따뜻한 봄 송경( 唐 宰相)은 백성을 사랑하고 물건을 아껴 온나라의 풍속이 아름답게 되었다. 사람들이 모두 .. 나의 서예 2013.04.02
영반월(詠半月) 詠半月(영반월) / 黃眞伊 誰斷崑山玉(수단곤산옥) 누가 곤륜산 옥을 잘라 裁成織女梳(재성직녀소) 직녀의 빗을 만들어 주었던고 牽牛離別後(견우이별후) 직녀는 견우님 떠나신 뒤에 愁擲璧空虛(수척벽공허) 시름하며 허공에 던져 두었네 2013.3.27 書 나의 서예 2013.03.31
청풍명월본무가 靑風明月本無價(청풍명월 본부가)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은 근본 값을 따질 수 없고 萬物靜觀皆自得(만물정관 개자득) 만물을 고요히 관찰하면 그 뜻을 알게된다 2013. 3. 27 書 나의 서예 2013.03.31
운과지선의(雲過知禪意) 雲過知禪意(운과지선의) 구름이 흘러가는 것을 보고 선의를 알고, 泉流見道心(천류견도심) 물이 흐르는 것을 보고 도심을 알도다. 2013.3.24 樂石 書 나의 서예 2013.03.25
시자손 示子孫(시자손) / 李穡 이색(李穡)의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아버지는 찬성사 곡(穀)이다. 15세에 부음(父陰)으로 별장(別將)의 직을 얻고, 1341년(충혜왕 복위 2) 진사 가 되었다. 고려의 삼은(三隱)중 한분으로 문장과 도학이 높았다. 익제 이재현의 제자로.. 나의 서예 2013.03.14
등청심루(登淸心樓) 登淸心樓(등청심루): 청심루에 올라가/ 茶山선생 시 楊柳提頭畵閣淸(양유제두화각청) 澄江一面錦紋平(징강일면금문평) 黃驪寶馬波無跡(황려보마파무적) 玄鶴仙人洞有名(현학선인동유명) 斷港經春芳草遍(단항경춘방초편) 晴煙送雨遠帆明(청연송우원범명) 漁村薄酒難成醉(어촌박주난성.. 나의 서예 2013.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