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서예

부용루송신점

서로도아 2013. 7. 5. 09:13
728x90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6월 중국을 국빈 방문하였을 때 서예작품 두 점을 선물 받았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당나라 때 시인인 王之渙이 쓴 '등관작루(登鹳雀樓)'

라는 한시(漢詩) 두 구절이 쓰인 서예작품을 선물하였고, 또 한 점은 "중국철학사(中國

哲學史)의 저자 펑유란(馮友蘭. 1894~1990))이 직접 쓴 것으로 알려진 '부용루송신점'

(芙蓉樓送辛漸)이란 서예작품 족자이다. 이 족자에는 당나라 때의 한시가 쓰여 있으며

중국의 국가문물국(문화재청 해당)에 등록된 문물로 알려졌다.

펑유란은 중국 당나라 때 시인 王昌齡의 시를 만 89세이던 1984년에 붓으로 썼다 한다.

부용루는 중국 강소성  진각에 있는 누각으로 이 장소가 처음에는 오나라 땅이었다가

나중에 초나라 땅이 되었으므로 같은 장소이고, 이시는 왕창령이 자신의 절친한 치구인

신점을 낙양으로 떠나보내면서 지은 애절한 심정을 노래한 것이라 한다.

 

                          芙蓉樓送辛漸(부용루송신점) / 왕창령(698~757)

 

 

寒雨連江夜入吳(한우연강야입오)

차가운 밤비 강물을 따라 오나라 땅으로 흐르는데

平明送客楚山孤(평명송객초산고)

이른 아침 친구 떠나 보내니 초나라 산이 외롭게 보이는구나

洛陽親友如相問(낙양친우여상문)

낙양의 벗들이 내 소식을 묻거들랑

一片氷心在玉壺(일편빙심재옥호)

한 조각 얼음같은 마음 옥 항아리에 담겨 있다 하게.

 

 

2013..7.3 書

 

 

                        

                                                                            

      登鹳雀樓(등관작루)   -관작루에 올라 /王之渙(688~742)

 

                                   白日依山盡(백일의산진)       밝은 해는 산자락을 따라 기울어 가

                                   黃河入海流(황하입해류)       황하는 바다로 흘러드는데

                             欲窮千里目(욕궁천리목)    천리 밖까지 바라보고 싶어

                             更上一層樓(갱상일층루)    다시 한 층 누각을 더 올라가네

 

                                        

 2013.7.3 書   

 

     두 구절

 

 

 

 

 

' 나의 서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무소주(應無所住)  (0) 2013.07.10
덕풍만리  (0) 2013.07.07
무량복덕(無量福德)  (0) 2013.07.02
노마지지(老馬之智)  (0) 2013.06.30
芳草有情  (0) 201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