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서예

詩魔

서로도아 2012. 2. 24. 16:26
728x90

 

 

/ 白雲 李奎報 (고려시대 문인, 문장가 1168~1241)

 

 2012.02.23 書

詩不飛從天上降(시불비종천상강)

勞神搜得竟如何(노신수득경여하)

好風明月初相諭(호풍명월초상유)

着久成淫卽詩魔(착구성음즉시마)

 

                                        시가 하늘에서 내려온 것이 아니건만

                                        어이해 애 태우며  찾으려는가

                                        산들바람 밝은달 처음엔 좋아 하지만

                                        오래되면 홀리나니 이게 바로 시마라네

 

                                                                     

                                                                                   詩癖(시벽)  

 

                                    시벽(詩癖) 즉 시를 짓지 않고는 못 배기는 병

                                    이규보는 시를 향한 어찌할 수 없는 , 뗄 수 없는 운명적인 상황을 시벽(詩癖),

                                    시마 (詩魔)등으로 표현아고 있다. 이 시를 지을 때 이규보는 이미 나이가

                                    칠십을 넘었으며 지위도 정승까지 올랐다.

                                    그러니 심간(心肝)을 깎아내 시를 쥐어 짜는, 괴로운 시 짓는 일은 그만 둘

                                    만도 하건만 자기의 생각과는 달리 시마(詩魔)가 괴롭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렇지만 결국 시 짓기를 병이라고 할 정도로 시 짓기를 좋아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작과정을 드러냄은  자신이 얼마나 시작을 좋아하는지 보여주는

                                    반어적인 표현인 것이다. 癖이나 魔에 걸려있는 일이 어디 詩作뿐이겠는가?.

 

 

 

 

' 나의 서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陋室銘  (0) 2012.03.02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0) 2012.02.27
금석동수(金石同壽)  (0) 2012.02.22
일광(一光)  (0) 2012.02.18
楊士奇의 글씨체  (0) 2012.02.16